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은 angiotensin I을 angiotensin II로 바꿔서 혈압을 높임. 
따라서 ACE inhibitor가 혈압강하제 약으로 쓰이고 있음. 
ACE가 뇌 기저 조직(striatum)에도 많이 존재하지만 뇌에서의 기능은 잘 모르고 있었음.

Striatum에 존재하는 ACE는 특정신경단백질을 분해하는데, 이 단백질은 opioid 신호(진통제 효과 매개)를 증가시킴. 
펜타닐 과 같은 진통제는 opioid 신호전달을 통해 진통효과를 내지만 중독의 위험이 존재. 
ACE inhibitor를  펜타닐과 같이 쓰면 소량의 펜타닐로 큰 진통효과를 낼 수 있음. 
Science 3월 게재
출처)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bl5130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gates brain circuit–specific plasticity via an endogenous opioid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regulates blood pressure by cleaving angiotensin I to produce angiotensin II. In the brain, ACE is especially abundant in striatal tissue, but the function of ACE in striatal circuits remains poorly understood. We find .
www.science.org
https://www.sciencedaily.com/releases/2022/03/220302185942.htm
Blood pressure medications impact brain function
Researchers found that blood pressure medications have an unanticipated effect on the brain.
www.sciencedaily.com
'연구결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코로나19와 혈액형이 상관관계가 있을까? (0) | 2022.03.09 | 
|---|---|
| 경증 코로나19 걸려도 후각 기억 관련 뇌부위 수축 (0) | 2022.03.08 | 
| 근력운동이 유산소운동보다 수면에 더 좋다 (0) | 2022.03.07 | 
| ASMR의 긍정적 효과 (0) | 2022.03.06 | 
| 피하지방은 이롭고 내장지방은 해롭다 (0) | 2022.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