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결과

지구 온난화가 여러 질병의 팬데믹 주요 원인이다.

생물 종 이동 및 접촉 늘어나 질병의 대유행 불러

지구 온난화 팬데믹

미국 조지타운대 글로벌보건안보센터 연구팀은 지구 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 종의 이동과 상호 접촉이 급속히 늘어남에 따라 인류 건강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기후변화는 코로나 등 팬데믹(대유행)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이는 다양한 생물 종이 기후변화로 인해 새로운 지역으로 이동하고 다른 낯선 동물과 점점 더 빠른 속도로 상호작용하도록 강요받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서로 다른 생물 종이 새롭게 접촉할 가능성은 앞으로 50년 동안 2배로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이 때문에 다른 바이러스가 동물에서 동물로 옮겨가고, 끝내 인간에게 이동할 위험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바이러스가 기후변화로 인한 이동에 따라 2070년까지 최소한 1만5000번 이상 새로운 동물 종으로 옮겨갈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지리적 범위의 이동으로 생물 종 간의 '첫 만남'이 30만번 이상 이뤄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오늘날의 잠재적인 종 접촉 비율의 약 2배에 해당한다.

이들 수치는 인류가 파리기후협정을 최대한 지키고, 21세기말까지 지구 온난화를 섭씨 2도 미만으로 제한할 것이라는 가정에 바탕을 둔 것이다.

연구팀은 2070년까지 네 가지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포유동물 3100종 이상의 지리적 범위가 어떻게 바뀔지 평가했다. 또한 조류와 해양 포유류도 인간 사이에 바이러스를 퍼뜨릴 수 있으나, 이번 예측에는 이를 포함시키지 않았다.

연구팀은 동물과 동물 사이의 바이러스 전파를 처음으로 접할 위험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를, 바이러스를 퍼뜨릴 위험이 가장 높은 생물 종의 하나로 박쥐를 각각 꼽았다.

이 연구논문은 nature 에 4월 출판되었다.

 

작년에 나온 코로나19 팬데믹 원인은 기후변화라는 연구결과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과 미국 하와이대학 등의 국제 공동 연구진은 
코로나19 팬데믹을 일으킨 바이러스인 ‘SARS-CoV-2’의 출현에 직접적인 역할을 한 것이 기후변화였다는 연구 결과를 작년 2월 발표했다

지난 세기 동안 진행된 전 세계의 온실가스 배출이 박쥐가 선호하는 산림 서식지의 성장을 촉진함으로써 중국 남부를 코로나 바이러스의 ‘핫스폿(hotspot)’으로 만들었다는 주장이다.

그에 의하면 지난 세기 동안 중국 남부 윈난성과 미얀마 및 라오스의 인접 지역에서는 식물의 유형에 큰 변화가 있었다. 나무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기온, 햇빛, 이산화탄소의 증가를 포함한 기후변화로 인해 키가 작은 나무들이 주로 자라는 열대 관목 지대가 열대 사바나와 낙엽수 삼림지대로 변한 것. 이는 주로 숲에 서식하는 박쥐 종에게 적합한 환경이다.

사실 특정 지역의 코로나바이러스 수는 그곳에 서식하는 다양한 박쥐 종의 수와 관련이 깊다. 연구진은 지난 세기 동안 중국 윈난성 남부에 40종의 박쥐가 추가로 유입됨에 따라 약 100종의 박쥐 매개 코로나바이러스가 더 증가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유전자 데이터에 의하면 이 지역에서 코로나19의 바이러스인 ‘SARS-CoV-2’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케임브리지대학 동물학과의 로버트 베이어(Robert Beyer) 박사는 “기후변화의 결과로 박쥐 종의 전 세계적인 분포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이해하는 것은 코로나19 발병의 기원을 추적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온도, 강수량, 구름 이동 등의 기록을 이용해 100년 전의 전 세계 초목 지도를 만들었다. 그 후 전 세계 박쥐 종의 식생 조건에 관한 정보를 이용해 1900년대 초 각 박쥐 종의 전 지구적 분포를 조사했다.

이를 현재의 분포 상황과 비교한 결과, 지난 세기 동안 기후변화로 인해 박쥐 종의 다양성이 어떻게 변했는지 알 수 있었다. 즉, 기후변화로 인해 서식지가 변경됨에 따라 박쥐들이 바이러스를 지닌 채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 것이다.

그 결과 바이러스가 존재하는 지역이 변했을 뿐만 아니라 동물과 바이러스 간의 새로운 상호작용으로 인해 박쥐는 해로운 바이러스에 더 많이 감염되고 바이러스는 진화했다.

전 세계의 박쥐들은 약 3000종에 달하는 서로 다른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다. 이는 각 박쥐 종이 평균 2.7종의 코로나바이러스를 지니고 있다는 의미인데, 대부분은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특정 지역에 서식하는 박쥐 종의 수가 증가하면 인간에게 해로운 코로나바이러스가 생기거나 진화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발표한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종합환경과학(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월 5일 자에 게재됐다.



출처)
기후변화, 팬데믹 주범으로 꼽히는 진짜 이유는?(연구) (코메디닷컴)
코로나19 팬데믹은 기후변화 때문? (더 사이언스타임즈)